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건너 불당 해석 해설 주제 분석

by lobbylobby 2023. 6. 3.

건너 불당

현대어 풀이

"어흠 아 긔 뉘옵신고 ~어흠 아 긔 뉘옵신고 건너 불당(佛堂)에 동녕승(僧)이 내 올너니홀 거사(居士) 홀로 자옵는 방(房) 안에 무슴것할아 와 겨오신고홀 거사(擧士)님의 노 감탁이 버서 거는 말 겻테 내 곳갈 버서 걸너 왓삽네.<병와가곡집, 청구영언>"

창작 배경

『건너 불당』은 조선시대 사설시조(私禮詩調) 중 하나로, 파계승(破戒僧)의 애정 행각을 다루고 있다. 작가는 당시의 유행어와 풍속, 성리학적 지식 등을 살려 작품을 창작하였다. 이 작품은 작가의 생애에서 가장 유명한 작품 중 하나이며, 그의 성격을 잘 보여주는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해와 감상

『건너 불당』은 문답체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어, 작품 속 인물들의 대화만으로 전개된다. 작품은 파계라는 금기를 깨는 성적인 행위를 다루고 있지만, 작가는 이를 감정적으로 흔들리지 않고 냉정하게 서술하고 있다. 이러한 냉정한 서술은 관찰자로서의 작가의 태도를 드러내고 있으며, 이는 작품의 긴장감을 높여주고 있다. 또한 작품에서는 승려인 동령승이라는 여성 인물이 파계 행위를 주도하고 있다는 점에서, 당시 여성의 성적인 자유가 제한적이었던 상황을 엿볼 수 있다.

정리

  • 성격: 사설시조, 애정가
  • 표현: 문답체 형식, 객관적
  • 주제: 파계승에 대한 풍자 목록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