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륜가 해설2 오륜가 해석 해설 주제 분석 오륜가 현대어 풀이 남편이 밭갈이를 하러 간 곳으로 밥을 담은 고리짝을 머리에 쓴 채 남편에게 밥상을 차려드리되, 눈썹 높이에 맞추어서 올립니다. 친하고도 고마우신 분이니 (공손히 대접해야 할) 손님과 무엇이 다르겠습니까? 창작 배경 및 이해와 감상 는 작가가 지은 연시조 중에서 네 번째 작품으로 '부부유별(夫婦有別)'을 내용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 작품은 아내가 남편을 하늘처럼 공경하며, 손님을 대하듯 정성스레 섬기라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초, 중장은 남편에 대한 아내의 지극한 정성과 사랑을 표현한 부분이고, 종장은 아내가 남편을 섬기는 도리(예)를 나타낸 부분입니다. 특히, '눈섭의 마초이다'는 조심스레 예의를 표시하는 아내의 태도로서 인상적인 부분이기도 합니다. 이 작품은 부부 사이의 예절을 깨.. 2023. 6. 5. 오륜가 해석 해설 주제 분석 오륜가 현대어 풀이 삼형제로 태어나 한 몸처럼 지내다가, 두 아우는 어디 가서 돌아올 줄 모르는가. 날마다 저녁 나절 문 밖에서 (두 동생을 기다리며) 한숨을 이기지 못하노라. 창작 배경 박인로의 '오륜가' 중, '형제유애(兄第有愛)'의 넷째 수로 한 부모에게서 난 동기지간인 형제가 임진왜란 · 병자호란 등 전란을 맞아 이별한 후 날마다 문 밖에서 한숨만 지으며 그리워하는 심정을 읊은 시조이다. 전쟁으로 헤어진 두 아우에 대한 '그리움'과 '기다림'의 정서가 강하게 나타나 있다. 이해와 감상 '오륜가'는 25수로 이루어진 계몽적 연시조이다. 형제간의 우애와 헤어진 혈육에 대한 애절한 그리움을 절절하게 표현하여 박인로의 중 백미로 불린다. 전쟁으로 헤어진 두 아우에 대한 그리움과 안타까움을 표현한 이 작품.. 2023. 6. 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