님 글인 상사몽이 ∼
-박효관-
<화원악보>
현대어 풀이
임을 그리워하는 상사몽(서로 사랑하고 그리워서 꾸는 꿈)이 귀뚜라미의 넋이 되어 기나긴 가을 깊은 밤에 임의 방에 들렀다가 나를 잊고 깊이 든 잠을 깨워 볼까 하노라.
이해와 감상
임이 그리워 꾸는 나의 사랑의 꿈이 저렇게 밤을 지새워 우는 저 귀뚜라미의 넋이 된다면 임이 자고 있는 방에도 마음대로 들어갈 수가 있지 않을까? 가을밤에 울고 있는 귀뚜라미의 넋에다가 임을 그리워하는 화자의 꿈을 담아 임께서 주무시고 계신 방으로 들어가, '나'를 잊고 편안히 주무시고 계시는 임을 귀뚜라미의 울음 소리로 깨워 보고 싶다는 작자의 섬세한 사랑의 표현이 신선하다. 임에 대한 사랑을 직접 말로 하지 않고 '귀뚜라미'를 통해서 은근하게 표현하고 있는데서, 작자의 조심스럽고 진지한 마음을 엿볼 수 있다.
정리
- 성격: 평시조, 연정가
- 표현: 추상적인 감정인 연정을 '귀뚜라미'라는 구체적 소재로 형상화함.
- 구성:
- 초장: 시적 화자의 상황과 처지를 귀뚜라미에 이입 - 화제 제시
- 중장: 가을의 깊은 밤에 임의 방에 들어감.
- 종장: 임의 방에 드어가 잠을 깨우는 행동을 통한 소망의 성취
- 주제: 가을밤 임 없이 홀로 지내는 외로움과 임에 대한 그리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