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초 우거진 골에 -임 제-
현대어 풀이
푸른 풀이 우거진 골짜기에 자고 있느냐, 누워 있느냐? (황진이의 무덤에서 느끼는 감회) 젊고 아름다운 얼굴은 어디에 두고, 창백한 백골만 묻혀 있는 것이냐 ? (아름다웠던 황진이에 대한 그리움과 그녀가 죽은 현실에서 느끼는 허무함.) 술잔을 잡아 권할 사람이 없으니 그것을 슬퍼하노라. (떠난 사람에 대한 그리움과 안타까움)
창작 배경
작자는 당대의 대문장가로서 명산을 두루 찾는 풍류인이었다. 그가 평안도 평사로 부임해 가는 길에, 이미 세상을 떠난 황진이의 무덤을 찾아가서 읊은 노래이다. 황진이가 살아 있을 때 서로 교분이 있던 작자가 풀섶에 덮힌 황진이의 무덤을 보고 그녀의 죽음을 안타까워하며 지은 시조로, 후에 이 사실이 말썽이 되어 양반으로서의 체통을 지키지 못하였다고 해서 파면되었다고 한다.
이해와 감상
'청초'와 '홍안', '백골' 등은 색채적인 대조를 이루어 시어 배열의 묘를 살렸고, '자난다 누어난다'와 '무덤에 난이'는 이미 죽은 황진이의 무덤을 향해 허탈하게 묻는 말로 작자의 애절한 심정을 잘 나타내고 있다. 평소에 함께 시주를 나누며 연분을 나누었던 명기 황진이의 죽음을 슬퍼하는 마음이 솔직하게 드러나 있다.
정리
- 성격 : 평시조, 애도가, 연정가
- 표현
- 대조적(색채) 심상 - 청초와 홍안, 홍안과 백골
- 시각적 이미지의 대조와 설의적 표현을 통해 화자의 심정을 부각시킴.
- 주제 : 떠난 임에 대한 그리움과 안타까움, 인생무상
- 문학사적 의의 : 황진이의 시적 재능과 용모에 대한 사대부들의 흠모가 어느 정도였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작품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