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한슴아 셰한슴아 해석 해설 주제 분석

by lobbylobby 2023. 6. 6.

한슴아 셰한슴아

현대어 풀이

한숨아 가는 한숨아, 너 어느 틈으로 들어오느냐? 고모장지, 세 살장지, 들장지, 열장지에 암톨쩌귀, 수톨쩌귀, 배목걸쇠뚝딱 박고 크나큰 자물쇠로 깊이깊이 채워 놓았는데, 병풍처럼 덜컥 접고 족자처럼 데굴데굴 말아 가지고 너 어느 틈으로 들어오느냐? 어쩐 일인지 네가 온 날이면 잠 못 들어 하노라.

창작 배경

'한슴아 셰한슴아'는 조선시대 의인법 시조 중 하나로, 일상생활에서 끊임없이 겪는 시름을 표현한 작품이다. 작가는 삶의 시련 속에서 일어나는 사건을 객관화시켜 표현함으로써 독자에게 공감을 이끌어내고, 전통적인 시조의 형식을 유지하면서도 독창적인 표현을 보여주었다.

이해와 감상

'한슴아 셰한슴아'는 한숨이라는 추상적인 대상을 시각적으로 구체화하면서도 틈을 비집고 들어오는 모습을 해학적으로 그려내는 작품이다. 작가는 현실의 시련과 고통에서 오는 끊임없는 시름을 의인법을 통해 객관화시켜 보여줌으로써 기발하고 생생한 표현의 묘미를 얻고 있다. 또한, 반복과 열거, 의인법을 활용하여 희극적인 분위기를 자아내면서도 작품 전체에는 민중들의 삶의 질곡과 고통이 담겨 있다.

정리

  • 형식 및 갈래 : 사설시조, 수심가, 해학가
  • 특성 : 반복과 열거와 의인법, 추상적 대상을 시각적으로 구체화함, 한숨이 삶 속에 비집고 들어오는 모습을 해학적으로 그려냄
  • 주제 : 그칠 줄 모르는 삶의 시름
  • 문학사적 의의 : <창 내고자~>와 더불어 서민들의 애환을 생활 속의 소재를 통해 객관화시켜 보여줌으로써 생생한 표현의 묘미를 얻고 있는 작품임.

댓글